본문 바로가기
상식 퀴즈 정답 해설과 참고자료/정치와 경제 상식 퀴즈 참고자료

정부의 역할을 강조한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 (John Maynard Keynes)

by 5 hint-Quiz 2025. 5. 27.

정부의 역할을 강조한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 (John Maynard Keynes)

정부의 역할을 강조한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 (John Maynard Keynes)

경제 불황에서 세상을 구한 사상가

존 메이너드 케인스(John Maynard Keynes)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세계 대공황이라는 전례 없는 위기 속에서 현대 거시경제학의 초석을 세운 인물입니다. 그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 없이는 시장 스스로가 균형을 회복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기존 자유방임주의 경제학에 큰 반기를 들었습니다.


케인스 경제학의 핵심: 유효수요 이론

케인스는 고전 경제학에서 주장하던 ‘수요와 공급이 항상 균형을 이룬다’는 이론을 반박하고, **“유효수요의 부족이 실업을 초래한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그의 대표 저서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1936)은 지금까지도 경제 위기 대응의 바이블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

  • 정부 지출을 통한 경기 부양
  • 중앙은행의 이자율 조정
  • 재정적자 확대를 통한 적극적인 투자 유도

이러한 이론은 이후 미국의 뉴딜 정책, 한국의 재정 확대 정책, 코로나19 재정지원책 등 수많은 경제 위기 대응에 실제로 적용되었습니다.


케인스의 이론, 어떻게 평가받고 있을까?

케인스주의는 1940~70년대까지 세계 각국의 정책에 널리 영향을 미쳤습니다. 특히, 실업률이 높고 민간 소비가 위축될 때 정부의 적극적 재정 지출이 경기를 살리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그의 이론은 막강한 설득력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물가 상승 + 경기 침체)**이라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그의 이론의 한계도 지적되었습니다. 이 시기 이후 **통화주의(밀턴 프리드먼)**가 주목받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많은 경제학자들은 케인스의 기본 원리를 현대적 방식으로 재해석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도 살아있는 케인스의 사상

최근 팬데믹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세계 각국이 대규모 재정 지출과 통화 완화 정책을 시행하면서 ‘21세기형 케인스주의’가 부활했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그의 이론은 단순한 경제학을 넘어, 정부와 시장의 관계, 국민의 삶의 질, 불평등 해소 등에 대해 지속적인 통찰을 제공합니다.


결론: 시장에만 맡겨선 안 된다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경제는 정부의 손길 없이는 회복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세상에 알린 인물입니다. 자유방임주의와 대비되는 케인스주의는 지금도 전 세계 경제정책의 기초가 되고 있으며, 그가 남긴 경제적 통찰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주요 키워드:
존 메이너드 케인스, 케인스 경제학, 유효수요, 정부 개입, 대공황, 일반이론, 거시경제, 뉴딜 정책, 경제 위기 대응

 

더 다양한 정치와 경제 상식 퀴즈 해설자료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상식 퀴즈 정답 해설과 참고자료/정치와 경제 상식 퀴즈 참고자료' 카테고리의 글 목록

"5Hint&Quiz는 다양한 글로벌 상식 퀴즈를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퀴즈와 함께 정답 설명도 확인하세요! #상식 #퀴즈"

5-hint-quiz.tistory.com